투르크멘바시 정유공장 전경. <제공=현대엔지니어링>

정부가 부가가치가 높고 고용유발 효고가 큰 엔지니어링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역량 강화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국토교통부, 미래창조과학부, 행정자치부, 기획재정부 등과 공동으로 '엔지니어링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그동안 한국의 세계 시공 시장 점유율은 8.3%에 달하지만 엔지니어링 분야 점유율은 2.4% 수준에 그쳤다.

정부는 한국의 엔지니어링 역량이 미흡한 것에 대해 실무형 인재양성 교육과 수주 이력(트랙레코드) 부족, 제조업보다 부족한 정부 지원 등이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정부는 엔지니어링 관련 고급 인력을 양성하고 기술력 중심으로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우선 실무 훈련과 트랙레코드 구축 지원 등을 강화한다. 올 하반기부터 연 200명을 대상으로 3D기반의 가상훈련과 교육플랜트 운영 등의 교육을 거쳐 LNG 액화 가스공사를 활용한 실습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오는 2018년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해외 우수대학과 기업의 교육프로그램 협력도 확대한다. 미국 페트로스킬스, 프랑스 IFP 등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는 민간기관의 교육시스템도 국내에 도입하고 단기간에 역량강화를 위해 '콘텍트 코리아' 사업과 연계하여 해외 인재 채용을 지원한다.

시공과 가격중심의 제도를 기술력 중심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사업자를 선정할 때는 기술배점을 상향하는 등 기술 중심으로 평가제를 개선한다. 

또한 시공에 적용중인 종합심사제(적격심사기준)를 방식을 엔지니어링 분야에도 도입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엔지니어링 기술자 수를 점차 확대하고 엔지니어링기업 전용 수출보증도 확대할 방침이다.

중소기업용으로 저렴한 엔지니어링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정부 연구개발(R&D) 과제와 연계해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해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추진한다.

도경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은 "선진국은 플랜트·건설뿐만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도 엔지니어링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경쟁력 혁신에 나서고 있다"며 "우리 기업도 엔지니어링 산업의 경쟁력 혁신에 앞장설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N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