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효율 오프라인 점포 200여곳 순차 정리키로…유통회사에서 서비스회사로 변화 꾀해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증권경제신문=한행우 기자] ‘유통공룡’ 롯데가 백화점·마트·슈퍼·롭스 등 유통 부문 오프라인 매장을 대상으로 창사 이래 첫 구조조정에 돌입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비효율 점포를 중심으로 700여 오프라인 점포의 3할에 해당하는 200여 곳을 닫는다는 계획이다. 올해 운영전략의 핵심은 ‘강도 높은 다운사이징’이다. 자산을 효율적으로 경량화하고 영업손실 규모를 축소, 재무건전성과 기업가치를 높인다는 계산이다.

또 넓은 매장 공간, 40여 년 축적된 MD 노하우, 3900만 명에 달하는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다각도로 활용, 기존 유통회사에서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서비스 회사’로 거듭나겠다는 방침이다.

소비자 데이터를 활용해 모든 고객, 상품, 행동 정보를 통합 분석하고 오프라인과 이커머스의 강점을 결합해 개개인에게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 같은 결정의 배경에는 실적 악화에 대한 그룹 차원의 절박함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 1월 ‘2020 상반기 롯데 VCM’롯데 사장단 회의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1993년 모 그룹 회장이 부인과 자식 빼고 다 바꾸라고 했는데 나도 그런 심정”이라며 강력한 변화를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4분기 1조16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2018년 4분기 순손실(4492억원)보다 적자 규모가 두 배 이상 커졌다. 마트와 슈퍼가 각각 230억원, 430억원의 적자를 냈다. 이커머스 롭스 등도 1090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최근 롯데는 그룹 안팎으로 잇단 악재가 겹치며 위상이 흔들렸다.

2015년 시작된 오너일가 경영권 분쟁과 경영비리 관련 검찰 수사로 내부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사태까지 터지면서 중국에서 미운털이 박혔다. 롯데는 부지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중국사업에 불이익을 겪어야 했다.

롯데마트 철수와 롯데면세점 부진 등 사드 여파로 롯데가 입은 손실액은 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뒤이어 불거진 국정농단 사태로 신 회장이 구속되면서 경영 공백이 생겼다. 당시 검토하던 글로벌 화학사 인수·합병(M&A) 기회를 놓치면서 성장 발판을 제때 마련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또 최근 몇 년간 쿠팡으로 대표되는 온라인쇼핑이 급성장하며 오프라인 유통의 위기를 초래했다. ‘새벽 배송’과 같은 새로운 시장도 선점하지 못했다.

경쟁사 신세계그룹이 2014년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 인터넷몰을 통합한 SSG닷컴을 만들고 2018년 독립법인으로 떼어내 집중 육성하는 동안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롯데쇼핑의 경우 올해 3월, 유통 계열사 통합 온라인몰을 출범시켰다.

지난해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국내에서 일어난 ‘일본 불매운동’ 여파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유니클로, 무인양품, 롯데아사히주류 등 일본 기업과의 합작사가 많기때문이다.

여기에 올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하루 매출 180~200억 수준의 롯데백화점 본점이 며칠씩 휴업하는 악재도 있었다. 롯데백화점과 한 건물을 쓰는 롯데면세점도 같은 기간 문을 닫았으며 롯데면세점의 경우 이보다 앞서 제주점에 확진자가 다녀간 사실이 알려지면서 역시 휴업을 결정해야 했다.

호텔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면세점 사업부문의 수익 악화로 호텔롯데의 기업가치가 떨어지면서 호텔롯데 상장 작업 역시 더뎌질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