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K7 등 38만대 리콜

지난 2019년 현대차그룹 미래차 전략 발표 당시 정의선 회장 / (사진=뉴시스)
지난 2019년 현대차그룹 미래차 전략 발표 당시 정의선 회장 / (사진=뉴시스)

[증권경제신문=김성근 기자] 현대·기아차그룹이 국내 코나EV 1조원대 리콜에 이어 미국에선 기아 K7과 스포티지 38만대에 대한 대규모 리콜을 실시하는 등 새해부터 정의선 회장이 각별히 신경쓰는 ‘품질경영’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10일(현지시각) 폭스뉴스 등 미국 주요매체에 따르면 앞서 미국 교통안전국, NHTSA는 기아의 SUV 모델인 스포티지 2017년~2021년식과 기아 K7(수출명 카덴자) 2017년~2019년식에 대한 리콜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리콜은 엔진룸에 있는 전자 제어 유압 장치(HECU)의 전기 회로 불량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됐기 때문으로 HECU는 잠김방지 브레이크 시스템(ABS), 주행 중 차체 안정화 전자 장치(ESC) 등 차량 제어 기능이 통합된 장치로 기아는 이번 리콜을 통해 전기 배선 부품을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NHTSA는 리콜이 이뤄질 때까지 차량을 구조물 등에서 떨어진 옥외에 주차할 것을 권고하는 한편, 계기판을 통해 타이어 압력, 잠금 방지 브레이크 또는 기타 경고등이 점멸될 수 있으며 타는 냄새 등이 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스마트크루즈컨트롤이 탑재된 차량은 문제 발생 가능성이 낮아 리콜 대상에 제외됐지만 국내 동일 차량에 대한 리콜 가능성도 높아진 상태다.

특히 이번 리콜은 지난 2019년 NHTSA가 현대·기아차의 엔진 화재 문제를 조사하다가 나온 조치로 당시 NHTSA는 차주들로부터 화재 3100여건, 부상 103건, 사망 1건 등 신고를 접수했다고 밝혔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현대·기아차그룹은 새해부터 애플카 협업설에 따른 현대차 임원들 ‘애플카’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과 더불어 연이은 품질 논란으로 이미지가 추락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번 리콜에 앞서 현대차는 지난 1월 브레이크잠김방지시스템(ABS) 결함으로 차량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투싼 47만여 대를 리콜한 바 있다. 

여기에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미국 NHTSA가 100만대가 넘는 차량 리콜을 둘러싼 조사 종결을 위해 과징금 920억 원을 내기로 합의한 바도 있다.

해외 상황 뿐 아니라 국내에서는 코나EV의 연이은 화재와 관련해 1조원대 리콜이 예정돼 있어 상황은 녹록지 않다. 우선 국내에 판매된 코나EV차량과 함께 아이오닉EV 등 3개 차종 2만 6699대 리콜이 예정이지만 해외에 판매된 차량에 대한 리콜까지 개시될 경우 규모는 최대 8만대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리콜 규모로만 1조원에 달할 가능성이 높아 제작사인 현대차와 배터리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의 비용 분담률을 둘러싸고 힘겨루기까지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1조원이라는 금액은 지난해 현대차 영업이익의 36%, LG에너지솔루션 영업이익의 2.5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현대차는 전기차인 ‘아이오닉5’ 본격 판매를 앞두고 벌어진 대규모 품질논란에 따른 소비자 우려 해소는 물론 LG에너지솔루션과의 리콜 비용 분담률까지 풀어야 할 난제에 직면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