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바이오 15개사에 정부기관까지…'백신·치료제' 개발에 역량 집중

SK바이오사이언스 연구원들이 백신을 검수하고 있다.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제공)
SK바이오사이언스 연구원들이 백신을 검수하고 있다.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제공)

[증권경제신문=이해선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과 정부기관이 ‘코로나19(COVID-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더욱이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향후 유사 감염병 사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정부의 지원을 강화하고 민·관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9일 제약바이오협회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15개사가 코로나19 예방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거나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4곳의 정부기관도 자체적으로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돌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예방 백신의 경우 GC녹십자(006280)와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기존에 독감백신 등 개발 역량을 갖고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체 백신 생산능력 또한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백신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경우 활발한 국내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먼저 GC녹십자는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19 국책 과제 공모를 통해 코로나19 관련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돌입한다. GC녹십자가 목암생명과학연구소와 함께 지원한 이번 정부 개발 과제는 ‘합성항원 기반 코로나19 서브유닛 백신 후보물질 개발’과,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 비임상 후보물질 발굴’이다.

독감백신, 수두백신, B형간염백신 등 다양한 백신 개발을 통해 축적된 연구개발 역량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도 적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역시 질병관리본부의 국책과제 지원을 통해 ‘2019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 비임상 후보물질 발굴’에 도전한다. 신종 바이러스 백신의 생산과 공급, 상업화 과정을 위해 국내외 유관기관들과 업무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에이즈백신 개발사인 스마젠은 현재 국제백신연구소와 연구용역 계약을 통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착수했으며, 다양한 바이러스 유래 감염증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을 통해 유전자 핵심 항원을 탑재한 백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밖에 보령바이오파마도 백신 개발을 준비 중이며 지플러스생명과학은 식물기반 플랫폼을 통한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치료제의 경우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후보물질을 발굴하거나, 기존에 출시했던 의약품에서 코로나19에 효능이 있는지 검증하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068270)은 질병관리본부의 ‘2019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 비임상 후보물질 발굴’에 지원해 국내 의료기관에서 혈액을 공급받아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를 개발 중이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기도의 만성염증 억제효과가 있는 흡입용 스테로이드제제로 중증폐렴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의 임상 1상을 돌입할 예정이다. 개발 후 치료목적 사용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셀리버리(268600)는 그동안 개발 중이던 중증패혈증 치료제 ‘iCP-NI’가 코로나19 치료제로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복수의 중국 제약사들과 패스트트랙 임상을 포함한 의견을 교환 중이며, 본격적인 임상에 나서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코미팜(041960)은 자사 신약후보물질인 ‘파나픽스’를 통해 코로나19 환자의 상태를 급격히 나빠지게 하는 면역 과다 발현 반응인 ‘사이토카인 폭풍’을 억제하는 임상 2, 3상 계획을 제출한 상태다. 

바이오마커 기반 암 조기진단 전문기업 지노믹트리(228760)는 충남대와 연구협약을 맺고 코로나19 분자 진단키트의 민감도를 한층 높인 분자진단 제품을 개발 중이다.  아울러 향후 항바이러스성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정보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이밖에 △유틸렉스 △이뮨메드 △카이노스메드 △젬백스 △노바셀테크놀로지 등도 코로나19 신약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해 국내 정부기관과 연구소, 제약사 등이 힘을 결집하는 민관협력 모델도 활성화되고 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방역에 필요한 신속진단제와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근 8개 연구 과제를 공고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협력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백신·치료제 개발이 단기간에 이뤄지기 어려운 만큼 기술적인 측면이나 허가 등 규제적 차원에서 이 같은 민·관 협력은 개발 속도를 크게 앞당기고 성공 가능성을 높일 전망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유럽의 혁신 의약품 이니셔티브(IMI), 미국 국립보건원의 AMP(신약개발 촉진협력) 등 민·관 협력이 활발한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해 백신·치료제 개발 시기를 앞당기는 동시에 개발 완료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