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경제신문=길연경 기자] “진짜 사장 LG유플러스가 해결하라.” 

희망연대노조 LG헬로비전(이하 LG헬로) 비정규직지부에 속한 조합원 2명이 지난 12일 LG유플러스 용산 사옥 인근 한강대교 아치 위에 올랐다. 이들은 “더 이상 이렇게 살 순 없다. 과도한 업무할당으로 인해 사망한 동료의 죽음을 악재라고 표현하는 LG헬로의 행태에 그냥 있을 순 없었다”며 위험천만한 한강고공 농성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절박한 심경을 토로했다. 

이들은 LG헬로비전의 직접고용 등을 요구하며 고공 농성을 벌인 지 6시간 여 만에 내려왔다.

노조는 수차례 집중·대표교섭을 진행하는 동안 사측이 합의를 파기하고 말을 바꾸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LG유플러스가 LG헬로를 조건부 승인으로 인수한 뒤 협력업체 상생방안의 실질적 책임을 이행하지 않고 있어 대기업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는 셈이다.노조는 지난 3월 24일 원청인 LG헬로와 2022년까지 3단계에 걸쳐 임금수준 개선 등의 내용을 담은 고용보장‧처우개선 합의를 이뤘다. 그러나 합의 직후 진행된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임단협) 교섭에선 하청업체 사측 대리인인 경영자총연합회(이하 경총)가 기본급이 아닌 ‘생산성수당 12만원 인상안’을 내놓은 뒤 난항을 겪었다. 

‘3년 간 협력업체 계약 유지’, ‘상생방안 계획 제출’은 지난해 12월 과기정통부가 LG유플러스의 케이블 방송 업체 CJ헬로(LG헬로비전) 인수를 ‘조건’ 승인하면서 LG유플러스가 이미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제안한 내용이다.

하지만 LG헬로 하청(외주)업체 직원들이 우려했던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이들은 인수 당시 “정부는 LG유플러스가 원하는 대로 ‘위험의 외주화’를 승인했고, LG유플러스가 바라는 조건을 부과했다”고 평가했다. LG유플러스는 고용 안정과 복지 향상 방안을 포함한 협력업체 상생방안에 대한 구체적 이행 방침을 아직까지 밝히지 않고 있다.

문제는 LG헬로와 모회사 LG유플러스가 하청업체에 문제가 생겨도 책임있는 자세를 보이지 않는데 있다. 이로 인한 갈등은 소비자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게 된다. 비정규직 노조는 LG헬로의 하청업체 직원들로 구성된 조직으로 고객과의 접점이 가장 큰 곳이기 때문.

LG헬로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크고 작은 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지난해 12월 31일 LG헬로비전 비정규직지부 해운대서부지회 조합원 김모 씨가 고객 집 건물 옥상에서 일하던 중 쓰러졌다. 김 씨는 119에 의해 병원으로 옮겼지만 끝내 숨졌다. 김 씨는 사고 당일 업무 배정률이 98%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LG유플러스의 경우 지난해 7월 자회사인 홈서비스센터 노동자가 인터넷 개통작업 도중 추락 사고가 일어났다. 사용자 LG유플러스는 하청의 일이라며 책임 인정과 안전대책 마련 요구를 외면했다. 아니땐 굴뚝에서 연기날까. 업계에서는 LG유플러스의 산업재해율이 전체 통신업보다 상당히 높다는 소리도 들린다.

최근 LG헬로 콜센터에서는 합병이후 연장근로수당이 미지급되고, 성과급은 줄어들었다는 불만도 나온다. 성과급 평가 항목 중 영업비중이 30%에서 합병 후 60%로 대폭 늘어나 압박감이 커지고 있다는 것. 한 술 더떠 LG유플러스의 LG헬로 노조탄압 의혹도 함께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LG헬로 관계자는 “당사는 3월 합의를 존중하며, 합의내용이 성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협력사와 노조의 가교 역할을 성실히 이행하겠다”는 의례적인 말을 반복할 뿐이다.

모기업 LG유플러스가 자회사의 일이라고 '나몰라라' 한다면 오래된 외주 하청 노동자 산재 문제에서 사회적 책임을 방기하고 있다는 지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