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사, 향후 전기차‧자율주행차 생산체제 대비 등 상생 고민

현대차 생산라인(사진=뉴시ㅡ)
현대차 생산라인(사진=뉴시스)

[증권경제신문=박제성 기자] 강성노조로 대변되는 현대차 노조가 이전과는 다른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최근 현대차 노조 집행부가 자진해서 노조원들에게 “내연기관차 생산 방식을 미래에도 고집하면 우리 모두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며 “자율주행차‧수소 및 전기차, AI(인공지능) 기술 관련 4차 산업혁명의 변화를 단순히 거부하기보다 어떻게 하면 노조원의 고용을 보장하고, 현대차의 경쟁력을 갖춰야 할 지 고민해야 한다”고 설득에 나섰다.

강성 노조 아이콘으로 상징되던 현대차 노조가 향후 전개될 미래형 자동차 산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거부하기보다 앞으로 펼쳐질 현실 인식 하에서 사측과 노조 간 상생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따라 현대차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이 조만간 열릴 예정인데, 노사의 달라진 태도로 임금동결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전기차 시대를 대응해 나가는 현대차와 달리 형제회사인 기아차(000270, 대표 최준영, 송호성) 경우 벌써부터 생산체제 전환과 관련, 노조 반발이 거센 상황이다.

현대차 노조의 ‘회사와 상생’과는 사뭇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기아차 노조는 전기차 기반 생산체제 전환 방식 및 수익성 개선을 위한 ‘플랜S(Plan Shift)’ 계획에 대해 크게 반대하고 있다. 또, 점차 물량을 줄이려던 변속기 생산량을 원점으로 유지하는 방향을 고집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완성차 업계는 자동차 생산방식 전환에 따라 핵심부품 중 하나인 변속기를 외주화(아웃소싱)하는 실정이다.

기아차 노조는 13일 ‘변속기2부 고용안정 방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했고, 사측은 2023년까지 변속기 생산 물량을 유지키로 했다.

노조 반발 전, 당초 기아차는 화성공장에서 생산되는 변속기 물량을 2021년(18만2635대), 2022년(14만1966대), 2023년(13만389대)로 차츰 줄여나갈 계획이었다.

하지만, 기아차 노조가 고용안정을 위협한다며 거세게 반발하자, 사측은 추가 물량(러시아 반조립제품 변속기, 중형 전자식 변속기, 소형 6단 자동변속기)을 배정해 노조 달래기에 나선 것이다.

이에 따라, 오히려 줄이려던 변속기 생산량을 오는 2023년까지 약 22만개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노조의 일자리 지킴 명분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기아차 경쟁력이 떨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다른 경쟁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모델 출시를 더 빨리 서두르고, 양산체제 준비에도 속도를 높이는데 비해 기아차는 노조에 이끌려 이같은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기아차와 마찬가지로 최근 한국GM과 르노삼성자동차 등도 노조 반발로 올해 임금협상 과정이 순탄치 않을 모양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 노사는 이르면 오는 7월 21일 올해 첫 임단협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GM 일부 노조원들은 오는 2022년 이후, 부평2공장 추가 생산계획 등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현재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카(SUV) 트랙스와 중형 세단 말리부 등을 생산하는 부평2공장은 이들 차량이 단종된 이후 아직까지 별다른 추가 생산 계획이 없는 상태다.

최근 GM 노사측이 확정한 임금 인상 요구안에 대해 양측 간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노조는 기본급 월 12만304원 인상, 통상임금 400%에 600만원을 더한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르노삼성도 임금인상을 놓고 지난 6일 노사 간 임단협을 가졌으나, 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르노삼성 노조는 사측을 상대로 기본급 7만1687원 인상 등을 요구한 바 있지만, 올 상반기 당초 계획보다 생산량이 절반이나 줄어든 상태라 노조 입장을 수용하기 쉽지않은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GM과 르노삼성이 생산물량 감소에 직면해 있어 노조가 사측 요구안에서 얼마나 양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