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코나EV 이어 GM 쉐보레 볼트 전기차도 리콜 결정
모두 LG화학 배터리 탑재해 안전성 논란
경쟁사 SK이노 "배터리 화재 사고 전무" 마케팅 나서며 신경전  

(사진=LG화학 제공)
(사진=LG화학 제공)

[증권경제신문=한행우 기자] 국내외에서 LG화학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대한 리콜 결정이 잇따라 나오면서 배터리 부문 분사를 앞둔 LG화학을 당혹스럽게 하고 있다.

아직 화재 원인을 배터리 결함으로 단정할 순 없지만 전기차 화재 사고에 매번 함께 이름이 거론되는 것만으로도 제품 신뢰도와 회사 이미지에 타격을 줄 수 있기때문이다. 게다가 오는 12월 1일 배터리 신설법인 ‘LG에너지솔루션’ 출범을 앞두고 있는 시점이라 거듭되는 악재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회사 제너럴모터스(GM)는 2017∼2019년 사이 생산된 쉐보레 볼트 전기차 6만8000여대에 대해 리콜 결정을 내렸다.

앞서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GM의 쉐보레 볼트 전기차 화재 사고 3건에 대해 조사에 착수하면서 추가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본 GM 측이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 선제적으로 리콜 결정을 내린 것이다.

GM 볼트에는 LG화학이 오창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가 사용됐다.

GM은 문제가 된 자동차의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거나 충전량이 100%에 가까울 때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보고 볼트EV 배터리 충전량을 90%로 제한하기로 했다. 정확한 화재 발생 원인은 조사해봐야 하지만 GM의 이 같은 조치는 소비자들에게 화재 원인이 배터리 문제일 수 있다는 인식을 주기 충분하다.

앞서 현대자동차도 LG화학 배터리가 장착된 코나EV 7만7000대에 대한 자발적 리콜을 결정하고 국내 및 미국·유럽·중국 등지에서 리콜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7월부터 지난달까지 동일 차량에 대해 국내외에서 13건의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내린 결정이다.

LG화학은 국토교통부가 코나EV 전기차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셀 불량 가능성을 지목하자 “재연 실험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원인이 배터리 셀 불량이라 할 수 없다. 국토부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표했다”고 즉각 반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문제는 비단 자동차뿐만이 아니다.

앞서 지난 7월에는 미국 애리조나 최대 전력회사 애리조나 공공 서비스(Arizona Public Service Co, 이하 APS)가 지난해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 원인으로 LG화학의 배터리 결함을 지목한 바 있다. 

LG화학은 APS의 자체 조사 내용이라며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한편 외부 기관과 분석한 반박 결과를 발표하겠다며 맞섰지만 국내에서도 여러 건의 ESS 화재와 얽혀있는 상태라 안전성 논란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한 처지다.

국내서 2017년부터 발생한 26건의 ESS 화재 중 14건이 LG화학 배터리를 사용했는데 이 제품들이 모두 비슷한 시기 중국 난징공장에서 생산됐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LG화학 책임론이 대두됐었다.  

경쟁사 SK이노베이션은 이를 겨냥한 듯 자사 배터리 안전성을 마케팅에 활용, LG화학의 신경을 긁는 모양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10월20일 배포한 ‘2020 인터배터리’ 관련 보도자료에서 “SK배터리는 2009년 글로벌 수주를 시작한 이후 2010년부터 배터리를 공급해 왔으나, 현재까지 SK배터리를 사용한 ESS, 전기차 등 어떤 수요처에서도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어 11월4일 배터리 개발 인력 채용 관련 보도자료에서도 “SK이노베이션은 현재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대세로 여겨지는 NCM(니켈-코발트-망간) 삼원계 배터리 분야에서 가장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 받는다”고 자평하며 “SK이노베이션은 특히 이처럼 고성능 배터리를 제조하면서 지금까지 배터리를 납품한 전기차에서 단 한 건의 화재 사고도 발생하지 않는 등 높은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거듭 강조한 바 있다.

LG화학은 배터리 부문을 떼어내 오는 12월1일 ‘LG에너지솔루션’이라는 이름으로 출범시킬 예정이다. LG화학은 전지신설법인을 확고한 글로벌 1위로 키운다는 전략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안전성 논란을 깨끗이 털어내야 한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