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는 국내 증권시장에 영향을 준 사건에 대해 '2015년 증권시장 10대 뉴스'를 선정·발표했다. <제공=포커스뉴스>

올해 증권시장을 '울고 웃게' 했던 이슈들이 발표됐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13일 설문조사 결과, 국내 증권시장에 영향을 준 사건에 대해 2015년 증권시장 10대 뉴스로 ▲증권시장 가격제한폭 확대 ▲한국거래소 공공기관 해제와 지주사 개편 추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등이 선정됐다.

증권시장 가격제한폭 확대 

거래소가 꼽은 올해 증시에서 가장 큰 뉴스는 지난 6월 15일 가격제한폭을 ±30%로 확대한 것이다. 

이후 실질적으로 상·하한가 종목수가 줄어드는 등 개별종목의 주가 급등락 현상이 줄고, 시장 전체로도 대외 충격에 대한 증시 변동성이 축소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공공기관 해제 및 지주사 개편 추진

거래소는 지난 2009년 공공기관에 지정된 이후 6년만에 해제(1월 29일)됐다. 조직과 인력운영의 자율성 확대로 글로벌 경쟁력 제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이다.

또한 금융위와 거래소는 ‘거래소시장 경쟁력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지난 7월 2일 거래소를 지주사체제로 개편한 후 상장을 추진하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올해 삼성은 대규모 인수·합병(M&A)으로 국내 증시를 뜨겁게 달궜다.

삼성은 지난 2014년말 제일모직(구 에버랜드)이 상장한 후 5월 26일 삼성물산과의 합병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합병은 외국계와 소액주주들 반발을 일으켰지만 결과적으로 기업의 주주 환원 책임이 새롭게 강조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상장사들의 주주 환원 정책 기조 확산 

삼성전자와 같은 상장사의 주주 환원 정책 기조가 확산되면서 올해 우선주 주가가 상승한 것도 10대 뉴스 중 하나로 꼽혔다.

2014년부터 정부와 거래소는 기업의 배당 확대를 독려해왔다. 포스코의 분기 배당제 도입, 삼성전자의 11조원대 자사주 매입 및 향후 배당확대 발표와 SK, SK하이닉스, 네이버, 삼성생명 등이 대표적이다. 이에 따라 우선주에 관심이 쏠리며 우선주 주가가 상승했다.  

메르스 확산 여파에 따른 내수 침체 

지난 5월말부터 확산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인해 해외관광객과 국내소비가 감소해 2분기 민간소비증가율은 1% 미만에 그쳤다.

이후 개별소비세 인하, 임시공휴일 지정, 코리아그랜드세일 등 정책적 노력에 따라 3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이 1.1%를 회복하며 올해 소비증가율은 4년 연속 1%대를 유지했다. 

대기업간의 사업구조 개편 및 핵심사업 집중 

대기업들이 비주력 사업을 접고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로 결정하면서 사업구조 개편에 따른 M&A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삼성그룹이 삼성토탈, 삼성종합화학, 삼성테크윈, 삼성탈레스, 삼성정밀화학 등 방산 계열사 및 화학분야를 한화·롯데에 매각했다.

SK텔레콤도 CJ헬로비전을 인수하면서 대기업 간 사업구조 개편과 핵심 사업 집중도 주요 뉴스로 선정됐다.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은 올해 7월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를 계기로 불투명했던 롯데그룹의 지배구조가 이슈화되면서 순환출자구조 개혁 및 경영투명성을 위해 80여개 계열사들의 구심점인 호텔롯데 상장계획을 발표하고 추진하고 있어 내년까지 주목해야할 이슈로 꼽힌다.

중국(홍콩)증시 급락 

올해 하반기 중국(홍콩) 증시가 급락한 것도 주요 뉴스로 선정됐다.

연초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상하이 증시는 6월 12일 5100선까지 상승한 후 급락해 연초 수준으로 돌아갔다.

홍콩 항셍H지수도 4월에 1만4000대까지 올라갔지만 9월 9000대에 접어들며 연초 대비 60% 수준으로 급락했다.

IPO 활성화 

지난 2002년 이후 13년만에 최대 IPO 기록했다.

유가증권시장은 14개사, 코스닥시장은 103개사에 달한다. 양뿐만 아니라 LIG넥스원, 더블유게임즈 등 유망한 기업들이 공개되며 공모시장을 뜨겁게 달궜다. 다만 연말 들어 미국의 금리인상 우려 등 대내외 악재로 인해 정체된 상황이다.

미국 금리인상 움직임에 따른 신흥국 자금 이탈

12월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글로벌 자금이 11월 초부터 5주 연속 신흥국으로부터 유출됐다. 반면 유럽의 추가 완화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서유럽 지역으로 9주 연속 유입이 지속됐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N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