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총수와 일가의 이사 등기 비율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책임경영'을 회피하고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삼성전자 서초사옥. <포커스뉴스>

대기업 총수 일가의 책임경영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 회사에 이사로 등재되는 비율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기업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지주회사에는 등재이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 대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을 23일 발표했다. 분석 대상은 민간 대기업집단 49개의 계열사 1497개사이다.

♦ 총수 및 일가, 등재이사 비율 감소 추세

자산 규모 2조원 이상인 151개 회사 중 61개사(40.4%)에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됐다.

하지만 총수일가의 이사 임기만료와 중도사임 등에 따라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총수 이사등재 회사 비율은 2012년 11.1%→2013년 11.0%→2014년 8.5%→2015년 7.7% 등으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또 총수일가 이사등재 회사 비율도 2012년 27.2%→2013년 26.2%→2014년 22.8% →2015년 21.7%로 감소하는 추세다.

수많은 근로자가 있는 대기업의 이사 등재를 회피하는 것은 경영에 대한 책임을 피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지주회사의 경우 총수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이 일반집단보다 높다.

총수일가는 73.6%, 총수는 57.9%가 지주회사 이사로 등재됐다.

총수일가의 이사 등재 비율 추이. <자료=공정거래위원회>

♦ 등기이사 연봉공개 등으로 등재 비율 감소

총수가 있는 40개 민간 대기업집단의 소속회사 중 총수일가가 1명 이상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21.7%로 전년 22.8%보다 1.1%p 감소했다.

총수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도 7.7%(105개사)로 전년(117개사, 8.5%)보다 0.8%p 줄었다.

특히 2년 연속 분석대상 집단인 39개 대기업집단의 소속회사 중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21.8%로 지난해 (22.8%보다 1.0%p 감소했다.

작년부터 도입된 등기이사 연봉 공개와 계열사들의 흡수·합병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거수기로 전락한 사외이사, 안건 반대 비율도 낮아져

대기업 사외이사가 회사 안건에 반대한 비율은 작년보다 더 낮아졌다.

총수가 있는 대기업 이사회의 사외이사 비율은 49.5%로 작년 49.8%보다 0.3%포인트 줄었다.
특히 이랜드(25.0%), OCI(32.3%), 한솔(33.9%)의 사외이사 비율이 낮았다.

총수일가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는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도 92.6%로 작년 92.1%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과 사외이사들의 이사회 참석률은 작년까지 계속해서 높아졌지만 올해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4년 5월∼2015년 4월 대기업 계열사의 이사회 안건 5448개 중 사외이사 반대 등으로 부결되거나 수정된 안건은 단 13건(0.24%)에 그쳤다. 이는 1년 전의 이사회 안건 부결 또는 수정 비율인 0.26%보다 더 낮은 수치다.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를 설치한 48개 대기업(총수 없는 대기업 8개 포함) 소속 상장사는 124개로 작년보다 3개사 줄었다.

공정위는 "총수일가의 책임경영 측면에서 미흡한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사외이사의 권한 행사도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N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