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 자녀교육비·수입감소·주거비부담 등 부담

국민 대다수는 의식주 등 생필품 물가지수가 높아 생활 수준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조사 보고서가 나왔다.

1일 현대경제연구원 김동렬 기업정책연구실장은 ‘가계 살림살이의 현주소와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활수준이 좋아졌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8.1%에 불과했다. ‘비슷하다’가 60.9%로 가장 많았고 ‘낮아졌다’는 의견도 31.0%에 달했다.

이는 소비자물가 지수 상승률에 비해 의식주 등 생필품 관련 물가 지수가 더 높아서 체감물가가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소득증가율과 소비증가율의 격차는 지난 2011년 4분기부터 크게 벌어져 올해 1분기 현재 소득 증가율은 0.3%였으나 소비증가율은 2.4%가 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살림살이를 힘들게 하는 요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체감물가’라는 답변이 39.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녀교육 부담’(18.1%), ‘수입 감소’(16.3%), ‘주거비 부담’(10.8%), ‘일자리 불안’(8.4%), ‘빚 증가(7.1%)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물가 지수는 2010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8.5%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의류ㆍ신발 물가는 11.7%, 식료품ㆍ음료는 16.4%, 주택ㆍ수도ㆍ전기ㆍ연료는 14.0% 올랐다.

생활수준을 묻는 질문에 50대 이상 고령층이 생활수준이 ‘낮아졌다’고 답변 비율이 42.8%로서 전체 평균 31.0%를 크게 훨씬 웃돌았다. 이어 40대가 37.4%, 30대가 20.7%의 순으로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학력이 낮을수록, 지역적으로는 수도권과 호남지역이 상대적으로 부정적 답변이 많았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의 부정적 답변 비율이 55.7%로 나타나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비즈니스 현장에서 사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계부채도 작년에 비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에 비해 올해 빚이 ‘변함없다’는 응답이 66.3%로 가장 많았으나 ‘늘었다’(24.6%)가 ‘줄었다’(9.1%)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빚이 늘어난 가장 큰이유는 주택관련 비용 증가가 30.9%로 가장 많았다. ‘자녀교육’(27.9%), ‘사업 부진’(25.5%) ‘의료비’(6.1%)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작년에 비해 올해 빚이 ‘줄었다’는 응답보다 ‘늘었다’는 응답이 훨씬 많아 가계부채에 대한 지속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하반기 살림살이에 대해서는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 64.2%로 가장 많았다.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22.9%, 더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12.8%로 나왔다.

‘나빠질 것’이라는 답한 응답자 가운데 50대이상이 33.1%로 가장 높았으며 자영업자는 37.1%, 블루칼라 27.8%로 나타났다. 특히 100만~300만원 이내의 중하위 소득계층에서 부정적 전망이 높았다.

나라살림을 건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고소득자 증세’로 답한 사람이 49.3%로 가장 많았다. ‘지하경제 양성화’(30.9%), ‘법인세 인상’(14.3%), ‘근로소득세 인상’(3.5%), ‘부가가치세 인상’(2.0%)이 뒤를 이었다.

하반기에 국민 살림살이가 나아지기 위해 정부가 집중해야 할 정책으로는 ‘물가 안정’(47.9%), ‘일자리 창출’(25.3%)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김 실장은 “현재 살림살이가 좋아지지 않았다는 응답자가 많고 하반기 살림살이 전망도 낙관적이지 않다”며 “살림살이가 어려운 이유도 ‘체감물가’, 하반기 정책 방향도 ‘물가 관리’라는 응답이 많으므로, 향후 물가 관리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거비와 자녀교육비가 가장 큰 비용 부담이므로, 주택시장 안정화 및 공교육 내실화 등을 통해 서민들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덧붙혔다.

이번조사는 전국 성인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지난 7월 16일부터 22일까지 7일간 전화설문을 실시한 결과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 3.08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