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말 기준 韓상장사 중 17.5% 한계기업

여의도 증권가 모습 (사진=연합뉴스)
여의도 증권가 모습 (사진=연합뉴스)

[증권경제신문=노지훈 기자] 국내 상장사 5곳 중 1곳은 버는 돈으로 이자 갚기도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전경련에 따르면 최근 코스닥, 코스피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중을 분석한 결과 2022년 말 기준, 한국의 상장사 중 17.5%가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2016년 9.3%이던 한계기업 비율이 최근 6년간 8.2%p 증가한 것.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기업을 말하며,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율은 2016년 9.3%로 같았다. 2022년에는 코스피의 한계기업 비율은 11.5%로 2.2%p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코스닥은 11.2%p 증가한 20.5%를 기록했다. 코스닥 기업의 한계기업 비율이 크게 높아진 것은 '코로나와 고금리'라는 외부 충격에 취약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표=전국경제인연합회)
(표=전국경제인연합회)

전체 상장사 중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은 지난해 30.8%에 달했다. 전체 상장사 3개 중 1개는 일시적으로 기업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미다.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 추이를 보면 코로나 이전 2018년까지는 20%대에 머물러 있었으나 2019년 30%대에 진입한 이후 2020년 코로나 유행으로 34.6%로 피크를 기록했고, 코로나 위기가 잦아들면서 점차 안정을 찾아가는 양상이었다.

한계기업 비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30.4%)이었다. 이어 운수 및 창고업(25.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5.0%), 도매 및 소매업(23.2%), 정보통신업(16.8%), 제조업(16.4%), 건설업(15.5%), 금융 및 보험업(3.5%) 순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2021년 기준 주요 7개국(G5+중국 및 한국 상장사) 중 미국(20.9%), 프랑스(19.2%), 한국(16.5%) 순으로 한계기업 비율이 높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확산된 코로나19, 급격한 금리인상, 최근의 경기악화 등이 한계기업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면서 "안정적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