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제에너지기구(IEA)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의 '1인당 CO2 배출량'은 1990년 10.29t(톤)에서 2013년 9.55t으로 7.2% 감소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5.41t에서 11.39t으로 110.8%나 증가했다. <출처=cc0photo>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 속도가 OECD 회원국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우리나라가 온실가스의 주범으로 꼽히는 석탄연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11일 국제에너지기구(IEA)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의 '1인당 CO2 배출량'은 1990년 10.29t(톤)에서 2013년 9.55t으로 7.2% 감소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5.41t에서 11.39t으로 110.8%나 증가해 OECD회원국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칠레가 108.2%, 터키가 62.4% 순으로 집계됐다. 

감축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슬로바키아가 42.2%로 1위를 기록했고 헝가리(-37.0%), 룩셈부르크(-36.2%), 스웨덴(-35.8%), 에스토니아(-35.6%)가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증한 이유는 연료, 특히 석탄연료의 사용이 많기 때문이다. 

1990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의 연료 연소에 따른 CO2 배출량은 147% 증가했다. 2013년 기준 한국이 연료 사용으로 인해 배출한 CO2는 5억8000만t으로 OECD 전체 배출량(120억t)의 4.7%를 차지했다. 

우리나라의 1인당 석탄 사용량은 절대량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석탄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중국(2.07tce)은 물론 주요 석탄 사용 국가인 미국(1.93tce)과 일본(1.30tce) 보다 높다.

특히 2013년 석탄연료 연소로 인한 CO2 배출량은 2억9000만t으로 OECD 국가 전체(40억t)의 7%를 차지했다. 이 수치는 1990년 9000t에서 1995년 1억t, 2000년 1억8000t, 2005년 2억t, 2010년 2억8000만t으로 증가했다. 

2014년 기준 우리나라의 1인당 석탄 사용량은 2.29tce로 전 세계 5위다. 카자흐스탄(3.15tce)이 1위, 호주(2.66tce), 대만(2.51tce), 남아프리카공화국(2.46tce)이 각각 2, 3, 4위를 차지했다. 

tce는 석탄의 열량 단위로 1t이 내는 열량을 환산한 단위가 1tce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N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