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현대경제연구원>

국내 총생산의 60%는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성장 업종'과 '취약 업종'이 확연히 나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성장업종 관련 전문인력 양성'·'취약업종 규제완화'·'중간업종 투자확대' 등 정부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2일 발표한 '국내 서비스업 수급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국내 서비스업은 국내총생산(GDP)의 59.4%를 차지한다. 취업자 중 서비스업 종사자 비중도 69.2%나 된다.

그러나 개별 업종 수요·공급 현황 분석결과 성장 업종과 취약 업종이 확연하게 나뉘었다. 

개별 업종 수요·공급 현황 분석결과 '금융·보험업'과 '교육업', '도·소매업', '부동산임대업' 등은 공급이 넘치고 수요는 부족한 대표적 취약 업종으로 분류됐다. 

금융·보험업의 실질 GDP 성장률은 금융위기 이전인 2004~2008년 4.9%에서 금융위기 이후(2010~2014년) 3.4%로 하락했다. 취업자 증가율은 금융위기 이후 정체 상태이고 총고정자본형성 증가율도 금융위기 이전 4.7%에서 3.7%로 감소했다.

교육서비업은 금융위기 이후 고용 및 투자가 줄어들고 수익성과 생산성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도·소매업은 금융위기 이후 수익성과 생산성은 소폭 올랐으나 수요부문은 여전히 부진했다.

부동산·임대업은 실질 GDP성장률이 2004~2008년 3.1%에서 2010~2014년 1.5%로 하락했고. 취업자 증가율도 금융위기 이전 2.9%에서 금융위기 이후 0.3%로 하락했다. 영업이익률도 12.6%에서 위기 이후 4.9%로 하락했다. 

반면 정보통신(IT)과 사업서비스, 보건복지업의 공급과 수요는 모두 양호했다. 

정보통신업은 금융위기 이후 취업자 증가율과 총고정자본형성 증가율이 각각 1.8%, 5.4%로 위기 전보다 상승하고 있어 향후 공급증대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사업서비스업은 매출액 증가율이 금융위기 이후 다소 하락했지만 총고정자본형성 증가율이 금융위기 이후 5.8%로 위기 이전보다 소폭 상승했고, 생산지수 순환변동치는 2010년 –2.8포인트에서 2014년 0.8포인트로 상승해 수요가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보건복지업은 실질GDP 성장률이 금융위기 이전인 2004~2008년 5.86%에서 2010~2014년 5.94%로 소폭 상승했고 취업자 증가율도 금융위기 이전 9.6%에서 11.1%로 증가했다.

임희정 연구위원은 "성장업종은 전문인력 양성과 지원 시스템 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보건 의료 분야에 몰려드는 우수 인재들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연구위원은 또 취약업종에 대해 "규제 완화와 새로운 시장 개척에 대한 지원정책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했고 중간업종은 "투자와 지원규모를 확대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보완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N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