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학습병행제' 정착 위해 "학력, 학벌 중시 사회인식 개선" 전제

[한국정책신문=허정완 기자] 정부가 추진 중인 일학습병행제에 대해 국민 83.7%가 ‘청년 취업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 제도가 정착되려면 학력-학벌 중심의 인식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밝혔다.

 
일학습병행제에 대한 인지도와 지지도, 참여 의향,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여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실시된 이번 「일학습병행제 인식조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지난 8월18일(월) ~ 9월12일(금)까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5~59세 남녀 1,1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조사됐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24.4%가 일학습병행제를 알고 있으며, 일학습병행제를 모른다고 답한 응답자 대다수(88.8%)가 정책의 내용과 취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중에 29.8%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학습병행제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편으로. 인력미스매치 문제인 청년 취업난과 중소기업의 숙련인력난 해결에 일학습병행제가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83.7%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반면, 일학습병행제가 인력 미스매치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일시적인 취업률은 높이겠지만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들지 못할 것 같아서’(61.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학벌학위를 우선시하는 우리 사회에는 맞지 않는 것 같아서(41.2%) > 도제훈련의 목적에 맞게 가르칠 인력 및 시스템이 회사 내에 충분치 않을 것 같아서(40.1%) > 선택할 수 있는 기업이 제한적이고 중소기업이 대부분이라 구직자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아서(36.9%) > 일학습병행제가 오랫동안 유지되지는 않을 것 같아서(16.6%)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벌학위가 우선시 되는 우리 사회에는 맞지 않는 제도인 것 같아서’를 1순위로 선택한 응답자가 32.6%에 달해 학벌학력 중심의 인식 개선이 절실한 것으로 평가된다.

‘일학습병행제가 제대로 뿌리내리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응답자 70.3%가 ‘학력이나 학벌이 아닌 능력을 중요시 하는 사회적 인식 개선’을 1~2순위로 꼽아 ‘일학습병행제가 인력 미스매치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일학습병행제의 수혜 대상이 청년구직자인 만큼 만 15~29세 청년층 494명을 대상으로 일학습병행제 참여 의향도 물었다. 그 결과, 10명 중 7명 이상(75.1%)이 ‘일학습병행제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유(복수응답)로는 ‘취업과 자격(또는 학위) 취득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취업준비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다’ 는 응답이 가장 많아(67.1%) 청년층의 취업 고민을 짐작할 수 있었다.

고교생 및 대학생의 일학습병행제 비참여 이유(복수응답)로는 ‘우리나라에서는 학력이 중요하고 대학졸업장이 필요하기 때문 (59.3%)‘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아 청년층이 느끼는 학력의 벽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박영범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은 “이번 인식조사를 통해 일학습병행제에 대한 국민들의 공감대와 기대감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 정책의 장점은 적극 알리되, 인식 개선과 제도 보완에도 힘쓰면서 일학습병행제가 능력중심사회를 앞당기는 견인차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향후에도 정기적인 인식조사를 통해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 방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가 올해부터 시행하고 있는 일학습병행제는 독일, 스위스의 도제식 교육제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적용한 것으로, 일학습병행 기업에 취업한 학습근로자는 월급을 받으며 기업현장에서 실무교육을 받고,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이론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다. 일정 기간의 교육훈련과정 이수 후에는 학위 또는 국가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제도다.

9월 30일 기준으로, 일학습병행제 참여기업은 1,700여 개에 달하며 정부는 오는 2017년까지 1만 개 기업으로 확대하여 7만 명의 청년들이 중소 중견기업에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