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금융 분야로까지 보복 조치를 확대할 경우 서민들에게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자 금융당국이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29일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과 대부업계 등 국내 서민금융시장에 풀린 일본계 자금이 17조원을 넘어섰다는 보도가 이어지자 "일본계 저축은행, 대부업체가 대출을 중단하거나 회수하더라도 국내 저축은행, 대부업체로 이를 충분히 대체가능하다는 것이 업권의 일반적인 평가"라고 밝혔다. 즉, 서민들에게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또 "일본계 저축은행 및 대부업계의 경우 영업자금의 대부분을 국내에서 조달하고 있고 일본 자금의 직접 차입규모가 크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경제보복에 따른 급격한 영업축소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된다"며 "타당한 사유 없는 만기연장 거부시 저축은행·대부업체의 급격한 건전성 악화 및 평판 손상 우려 등을 감안할 때 실현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에 따르면 현재 저축은행 29개 중 일본계 저축은행은 4개, 대부업체 8310개 중 일본계 대부업체는 19개다. 아울러 올해 3월 말 기준 일본계 저축은행의 총 여신은 11조원으로 업권 전체의 18.5%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일본계 대부업체의 대부자산은 6조7000조원으로 업권 전체의 38.5%로 나타났다. 

현재 금융당국은 일본의 금융 보복으로 일본계 자금 대출이 중단될 가능성 등에 대해 점검하고 관련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는 특이한 동향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만큼 특별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라는 기류가 강하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우리 금융부문의 경우 전반적으로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크지 않고 대체 가능성이 높으며 외환보유액도 충분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지금까지 3주간 주로 일본계 금융기관의 영업형태와 자금 흐름 등을 봤다"며 "그 이전과 다른 특이한 동향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