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 을지로 KEB하나은행 본점에서 열린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출시 행사. (사진 왼쪽 두번째) 김정태 하나금융회장과 (사진 맨 오른쪽)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제공=하나금융지주>

박근혜 대통령이 청년 실업의 해결책으로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을 거론, 가입하면서 은행권 수장들도 기부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가운데 은행권의 정권 '눈치보기'라는 지적이다. 

5개 시중 은행(KEB하나·신한·국민·우리·농협은행)은 모두 22일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을 일제히 출시하고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3대 금융지주(하나·신한·KB금융) 회장은 연봉 반납액의 50%를 공익신탁 기금으로 기부했다. 하나금융은 관련 행사까지 진행하고, 전 계열사 직원에게 가입을 독려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 청년 실업 해결을 위해 기금을 마련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발언에서 시작됐다. 

이후 정부는 공익목적으로 자금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공익신탁 방식을 택했고, 5개 은행에 공동 수탁자가 돼달라고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21일 KEB하나은행에 2000만원을 내놨으며, 매달 월급의 20%를 기부할 계획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도 22일 서울 광화문 농협에 방문해 매월 금액의 10%를 청년희망펀드 기부금으로 신탁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청년희망펀드는 수익을 돌려받는 금융상품이 아니다. 그저 기부금일뿐이다. 은행들은 기부금을 운용하고, 원금과 수익금을 재단 설립 목적에 맞도록 이용하는 역할을 한다. 

정부는 기금 모금 당시 '청년희망재단(가칭)'을 만들 예정이며, 청년구직자 및 불완전취업(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으로 1년 이상 취업하고 있는 상태) 청년들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청년희망펀드로 생기는 재단이 구체적으로 청년 실업을 어떻게 해소할 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나온 얘기가 없다. 모집 기간도 '청년 실업이 어느 정도 해소될 때'까지로 애매하다. 

이런 실정이다 보니 박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은행권 수장들이 앞다퉈 가입해 기부하는 행위에 대해 의구심이 들 수 밖에 없다.

윤종규 KB금융지주회장 겸 국민은행장이 22일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에 가입하는 모습. <사진제공=국민은행>

은행들은 영업점 창구에서부터 인터넷·폰뱅킹에 이르기까지 모든 거래 채널에서 청년희망펀드 기부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전을 펼치고 있어 과도한 '충성 경쟁'이란 비난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은행권 CEO의 기부를 회사 홍보에 이용하고, 개인적으로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좋다'는 얘기도 나온다. 청년희망펀드의 기부자는 기부금액의 15%, 3000만원 초과분은 25%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은행의 한 관계자는 "추후 마련된 돈으로 재단을 설립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재단을 설립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 등을 봤을 때 지금 상황은 일단 돈을 무작정 모으고 보자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말한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N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