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가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제공=국무총리실>

정부가 인공지능 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에 나선다. 이를 위해 2018년까지 인공지능 기초기술인 언어지능ㆍ시각지능 기술을 산업화하고, 2021년까지 차세대 지능형 의료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13일 미래창조과학부는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7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K-ICT 전략 2016'등 6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우선 정부는 지능정보산업을 K-ICT 전략산업에 추가해 10대 전략산업으로 개편하고, 지능정보산업과 기존 9대 전략산업(SWㆍ정보보안ㆍ사물인터넷(IoT)ㆍ클라우드ㆍ빅데이터ㆍ5GㆍUHDㆍ디지털콘텐츠ㆍ스마트디바이스)간의 연계를 통한 성장체계를 마련했다.

특히 전 산업의 성장동력인 소프트웨어(SW)와 정보보호 산업을 K-ICT 전략산업의 인프라로 육성하고, 디지털 콘텐츠ㆍ스마트 디바이스ㆍ5세대 이동통신(5G) 등 서비스ㆍ기기 분야도 지능정보와 연계해 활성화시킬 방침이다.

정부는 지능형 소프트웨어의 산업적 활용을 위해 언어지능 '엑소브레인'과 시각지능 '딥뷰' 등 정부 R&D 성과를 2018년까지 조기 산업화한다는 목표다. 또 2020년까지 초소형 지능형 반도체 핵심기술을 개발,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와 반도체 기술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또 지능정보 서비스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2019년까지 사이버테러 공격의 징후를 사전탐지ㆍ예방하고 대처하는 머신러닝 기반의 사이버테러 대응기술을 개발하고, 2021년까지 차세대 지능형 의료정보 시스템도 구축한다.

K-ICT 전략의 첫번째 시험무대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기존 5세대(5G) 이동통신ㆍIoTㆍ초고화질방송(UHD) 등 3대 중점분야 외에 가상현실(VR)과 인공지능(AI)을 동계올림픽 핵심 영역으로 추가했다.

이에 따라 영어ㆍ중국어ㆍ일본어 등 7개 언어와 한국어간 실시간 자동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음성인식ㆍ대화처리기술을 활용한 'AI 콜센터도우미'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평창올림픽 경기장을 VR 시뮬레이터로 구현해 가상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국제 VR 드론 레이싱 대회를 개최하는 한편 경기영상 등을 VR 카메라로 촬영, 5G 시범망 등을 통해 실시간 중계한다.

정부는 안전한 지능정보사회 구현과 정보보호산업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시큐리티 인력 양성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향후 5년간 최정예 전문 정보보호 인력 7000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초ㆍ중ㆍ고 정보보호 전문교재 개발과 전문교원 양성을 추진하고, 정보보호 특성화 대학을 올해 4개에서 2020년 12개로 늘리기로 했다. 고용계약형 석사과정도 올해 12개에서 2020년 16개로 확대한다.

또 제조ㆍ에너지ㆍ스마트홈ㆍ교통ㆍ의료 등 주요 ICT 융합산업에선 최정예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전형 사이버보안 훈련장도 구축(2017년)하기로 했다.

이 밖에 정부와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전담조직과 인력을 확충하고, 우수 보안인력의 공직 진출 우대, 전문성 제고 교육 강화 등도 추진한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N
기사제보
저작권자 © 증권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